아사가오~ 해롱포터~ 합체☆!!!

디스텔, 테이블 마운틴 네츄럴 스위트 화이트
Distell, Table Mountain Natural Sweet White

 

 

종류 : 화이트와인(White)
당도 :  Medium Sweet
용도 : 아페리티프 와인,디저트 와인
생산국 : 남아프리카공화국(South Africa)
생산지 : South Africa etc.
제조사 : 디스텔(Distell)
품종 : Mixed
알코올도수 : 7.5%
음용온도 : 8~10C
어울리는 음식 : 한식, 야채
맛과 향 : 과일

 

어울리는 음식 
각종 야채볶음요리, 부드러운 소스의 중국음식, 일본퓨전 음식, 강하지 않은 소스의 한식과도 잘 어울린다.


테이스팅 노트
약간의 연두 빛이 감도는 엷은 노랑빛, 신선한 열대 과일 향의 풍부하며, 전체적으로 달콤한 향과 신선하고 씹히는 듯한 상큼함을 지닌 달콤한 와인이다.

 

Distell

이 와인은 케이프 지역에서도 가장 품질 좋은 포도재배지인 스텔렌보쉬(Stellenbosch) 지역에 위치한 아담 타스 셀라(Adam Tas cellar)에서 양조되고 있으며, 합리적인 가격에 편하게 마실 수 있는 와인으로 세계적으로 사랑 받고 있습니다.


- 와인생산량으로 전세계 9위에 위치 ,재배면적으로 전세계 15위에 위치
- 1656년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의 Jan Van Riebeek에 의해 케이프 지역을 중심으로 와인생산 시작, 2005년을 기준으로 약 4,500여개의 와인생산자 유지
- 18세기에 들어 동인도 회사를 통해 수출된 남아공 와인이 각광을 받기 시작하나, 남아공의 오랜 인종차별정책으로 인해 경제제재 및 국제적 고립으로 인하여 오랜 기간 국내 소비용 저급의 와인만을 생산
- 1994년 최초의 흑인대통령 넬슨 만델라와 함께 인종차별정책 폐지 → 대형 와이너리 들의 적극적인 투자와 현대적인 양조 방법으로 인하여 와인산업 활성화
- 남아공 와인 : 전통적이며 클래식환 구세계의 스타일 + 현대적인 양조기술을 바탕으로 한 신세계식 접근법
- 지중해성 기후 지역으로, 아프리카 남쪽에서 남서연안을 따라 북쪽으로 흐르는 한류인 벵겔라 해류(Benguela Current)의 영향으로 위도에 비해 서늘한 기후를 보임
- 2000년 SFW(Stellenbosck Farmer’s Winery)와 Distillers Corporation의 합병으로 설립
- SFW는 1900년에 미국의 의학박사였던 윌리엄 샤를 윈쇼(Willian Charles Winshaw)에 의해 설립된 남아공의 대표 와인회사로 와인을 넘어서 다양한 음료 및 주류 기업
- Distillers Corporation 또한 남아공을 대표하는 기업으로 1945년 안톤 루퍼트(Dr. Anton Rupert)에 의해 설립, 브랜디와 같은 하드리쿼 산업에서 대표주자로 발돋움
- 이 두 거인 회사의 합병을 통해 탄생된 디스텔은 남아공의 경제를 이끌어나가는 거대기업이자 와인산업 분야의 선두 주자.
- 약 4,200명의 직원과 함께, 연매출 79억 란드(한화로 약 1조 2천억원 규모) 달성


www.distell.co.za

 

 

자료출처 : http://www.wine21.com/wine_detail/wine_detail.html?uid=47876

 

 

무똥 까데 레드, 2010

Wine bar l 2012. 8. 31. 19:06

무똥 까데 레드, 2010
Mouton Cadet Red, 2010


 

 

종류 : 레드와인
당도 : 드라이와인
용도 : Table Wine
생산국 : 프랑스(France)
생산지 : Bordeaux
와이너리 : Baron Philippe de Rothschild (바롱필립드 로췰드)
빈티지 : 2010
품종 : Merlot 55%, Cabernet Sauvignon 30%, Cabernet Franc 15%
알코올도수 : 13.5%
음용온도 : 17~19C
등급 : Bordeaux AOC
어울리는 음식 : 불고기, 스테이크 갈비 등 다양한 육류요리
특징 : 체리빛, 부드러우면서 세련된 풍미
맛과 향 : 과일, 딸기, 체리, 가죽, 스모크

 

어울리는 음식
각종 육류요리, 치즈, 살라미, 그릴에 구운 음식, 버섯 요리와 잘 어울린다.

 


테이스팅 노트
매력적인 체리빛을 띠며 야생 딸기류의 향기 및 스모크 향이 살짝 감도는 와인으로 우아하게 집중된 탄닌과 상쾌한 과일 풍미에 더해진 가죽향의 느낌이 복합적으로 느껴지고 무난하면서도 긴 여운을 가져다 주는 와인이다.


 

Baron Philippe de Rothschild (바롱 필립 드 로칠드)

 

샤또 무똥 로칠드, 무똥 까데 등의 와인으로 세계적인 명성을 지닌 바롱 필립 드 로칠드사는 와인의 세계에 새로운 비젼을 제시한 전설적인 와인의 명가이다.


창립자인 바롱 필립의 3가지 업적은 와인의 샤또 병입을 처음 도입한 것, 여러 와인을 혼합하는 기술을 개발하여 최초의 보르도 AOC 와인, 무똥 까데를 만든 것, 당대의 저명한 예술가들에게 의뢰하여 라벨의 디자인을 혁신한 것이다.


보르도의 와인 역사는 바롱 필립의 업적과 함께 다시 쓰여 졌다고 한다.


과거에 뿌리를 두고 미래를 바라보는 바롱 필립의 비젼은 와인산업의 전통과 신기술을 조화시키는 기틀이 되었고, 현 사주인 그의 외딸 필리핀 남작부인을 통하여 면면히 이어져오고 있다.


바롱 필립 드 로칠드사는 프랑스 보르도, 랑그독 루씨용이 와이너리를 비롯하여, 1979년에는 로버트 몬다비사와 협력하여 캘리포니아에 오푸스 원(Opus One)을 생산하고, 칠레에서 콘차 이 토로(Concha Y Toro)사와 함께 새로운 와이너리를 건설하여 1997년 부터 칠레 최고 명품 알마비바를 탄생시켰다.


칠레에는 100% 자회사인 바롱 필립 마이포 칠레를 설립하여 와인을 생산하고 있으며, 98년 부터 프랑스 랑그독 루씨용의 포도 재배 농부들의 조합인 시외르 다르크와 함께 3번째 합작 명품 와인인 바로나르끄를 선보였다. 현재 랑그독 지방에 도멘느 드 랑베르 (Domaine de Lambert)를 건설 중이며 조만간 랑그독 최고급 와인을 생산할 예정이다.


무똥 까떼는 1930년대 샤또 무똥 로칠드의 세컨드 와인으로 출발하여 연간 약 1600만병이 판매되는 와인으로 명실 공히 전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보르도 AOC 와인으로 바롱 필립 로칠드사의 대표적인 제품.


1983년부터 세계적인 시가회사인 다비도프에서 Zino Mouton Cadet라는 Cigar 시리즈를 생산, 판매하고 있다.

 

 

자료출처 : http://dev.wine21.com/13_WineSearch/winesearch01_view.php?sh_searchtype=1&ViewTab=2&SelUno=1579&page=1&increment=0#TabPosition

 

 

샤또 드 깡달  생테밀리옹 그랑 크뤼, 2003

CHATEAU DE CANDALE SAINT-EMILION GRAND CRU, 2003

 

 


생산자 : Chateau de Candale (샤또 드 깡달) 
국가 : France (프랑스) 
지역 : Saint-Emilion (생떼밀리옹) < Bordeaux (보르도)  
등급 : Appellation Saint-Emilion Grand Cru Controlee 
빈티지 : 2003
타입 : Red (레드) 
포도품종 : Merlot (메를로) 80%, Cabernet Franc (까베르네 프랑) 20%  
알코올도수 : 15 % 
IMPORTED BY : CANNON WINES LIMITED SAN FRANCISCO.CA
                        CONTAINS SULFITES PRODUCT OF FRANCE

 




산타 헬레나, 버라이어탈 메를로, 2011
SANTA HELENA, Varietal MERLOT, 2011


 

 

종류 : Red
알콜도수 : AIC.13%
생산국 : 칠레
Winery : Santa Helena (산타 헬레나)
Varieties : Merlot
분류 : Table Wine(테이블 와인)
음용온도 : 17~19℃
빈티지 : 2011

 

 

어울리는 음식

각종 그릴에 구운 육류요리, 고다치즈, 에멘탈치즈 등과 잘 어울린다.

 

 


테이스팅 노트
보랏빛이 감도는 짙은 적색을 띠고 있으며 서양자두의 짙은 아로마와 각종 과일향, 향신료향 등이 풍부하게 느껴진다. 

 

 서양자두, 블랙베리의 짙은 향과 약간의 스파이시한 특성이 잘 조화를 이루고 있는 미디움 바디 스타일로, 강렬하면서도 부드럽게 넘어가는 탄닌맛이 뛰어나다.

 

 

Santa Helena (산타 헬레나)   

 

산타 헬레나는 1942년 VSP 그룹에 의해 "칠레 최고의 와인을 전 세계에 수출"하는 것을 목표로 설립된 와이너리로, 칠레의 수도 산티아고에서 남쪽으로 130km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다.


설립 이후 매해 소비자들의 다양한 입맛에 맞는 다채로운 아이템을 출시, 전 라인을 50여 개국에 수출하고 있다.

또한, 포도재배와 와인양조 기술연구에 대해 지속적으로 투자하고, 재능 있는 와인메이커를 영입하는 등 품질관리에 철저한 와인생산자이다.

전 병입 라인은 ISO 9001, ISO 12001, OHSAS 18001, HACCP 인증을 획득했으며, 양조 과정은 전문적인 와인메이킹팀이 체계적으로 관리, 감독하고 있다.

 

- 1942년 VSP 와인 그룹에 의해 꼴차구아 밸리(Colchagua Valley)에 설립.
- VSP 와인 그룹은 Vina San Pedro, Finca La Celia, Altaïr, Vina Tabali 등 남미 유수의 와이너리를 소유, 혹은 지분을 갖고 있는 와인 전문 경영 회사이며, 모회사인 CCU 법인은 칠레에서 가장 큰 음료 회사임.
- 칠레의 5번째 와인 수출 와이너리 (2005년 기준).
- 전 세계 50여 개국에 와인 수출.

셀러 및 빈야드
- 전 병입 라인은 ISO 9001, ISO 14001, OHSAS 18001 and HACCP 인증 획득.
- 포도밭 : 꼴차구아 밸리 430헥타르, 까사블랑카 밸리 60헥타르, 꾸리꼬 밸리 150헥타르.

수석 와인메이커 : 미겔 랑코렛(Miguel Rencoret)
젊고 재능 있는 와인메이커로, 산타 헬레나 와인의 와인메이킹 팀을 책임지고 있다.
2001년에 산타 헬레나에 합류했으며, 그 전에는 산타 리타, 몬테스, 깔리테라, 로버트 몬다비 등 유수의 와이너리에서 자신의 재능을 펼치고 있었다.
산타 헬레나에 합류한 뒤, 그는 프랑스의 와인메이커 파스칼 샤토네(Pascal Chatonnet)의 컨설팅을 받으며 산타 헬레나의 최고급 라인 프로젝트인 '4 Stations'를 이끌었다.


www.santahelena.cl

 

 

자료출처 : http://dev.wine21.com/13_WineSearch/winesearch01_view.php?

 








바르통 게스티에 레제르브 보르도, 2001
Barton & Guestier 1725 Bordeaux Réserv, 2001

 

 

생산국 : France
생산지역 : Bordeaux
와이너리 : Barton & Guestier
포도품종 : merlot, Carbernet Sauvignon
빈티지 : 2001

 

Barton & Guestier

 

‘B&G(Barton&Guestier)’ 와인은 프랑스 수출 1위 와인으로 2005년 미국과 아일랜드, 러시아 등에서 프랑스 와인 판매 1위를 차지한 프랑스 대표 와인이다.


프랑스 보르도 지역에 위치한 B&G사는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진 와인중계상이며 연간 생산되는 와인량은 1백만 6천 상자(9,5400 L)이다. 총 생산의 95%를 미국, 아일랜드, 러시아, 한국, 일본 등 전 세계 130여 개 국에 수출하고 있으며, 전세계 수백만의 소비자들로부터 항상 일정하며 고품질의 와인을 만드는 브랜드로 그 전문성을 인정 받고 있다.

B&G는 포도나무 재배부터 양조, 유통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의 체계적 시스템구축. 소비자의 욕구에 맞춰 메를로 등 부드러운 맛의 포도품종 사용량을 높이고, 매년 약 25,000개의 샘플 중에서 단지 800개 만을 선별하여 와인을 제조하는 등 와인, 팩키징, 운송, 소비자와의 커뮤니케이션 등 전 부분에 걸쳐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전달하고자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다.

 

토마스 바통

B&G의 설립자인 토마스 바통(Thomas Barton)은 그의 나이 30세에 아일랜드를 떠나 프랑스 보르도로 이민을 왔다.

그는 자신의 미래를 개척하는 진정한 모함가였고, 1725년 비로소 와인 사업을 시작하게 되었다.

첫 와인은 자연스럽게 18세기 초반 네델란드와 더불어 보르도의 가장 큰 시장이였던 아일랜드로 수출을 했으며 그의 끊임없는 노력은 단기간 내에 믿을 수 없을 만큼의 성공을 가져다 주었다.


토마스 바통은 프랑스에서 자신의 와인을 수출한 첫번째 사업가가 되었으며 1747년에는 보르도 제1의 와인 수출업자가 되었다.

또한 그의 고객들은 그를 "프렌치 탐(French Tom)"이라는 애칭으로 부르기도 했다.

이는 후에, 그의 명성을 기리고 모험가적 정신을 따르기 위해 프렌치 탐이라는 와인의 브랜드명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그는 유럽의 고급스러운 와인을 찾던 주요 고객들과 견고한 신뢰를 쌓으며 빠르게 성장했으며, 마침내 보르도의 가장 유명한 와인 판매상 중 한 명이 될 수 있었다.


토마스 바통은 18세기 초, 매독 와인의 가장 최일선에 있던 개척자로 추앙 받았을 뿐만 아니라, 와인으로 유명한 매독 지역에 대한 해박한 지식과 와인 메이커로서의 유명세로 많은 존경을 받았다.

토마스 바통 리저브는 보르도, 메독, 쌩떼밀리옹, 마고, 그라브, 쏘떼른 그리고 프리베 메독 등 총 7종과 프리베 메독을 제외한 나머지 6종을 한자리에서 즐길 수 있는 보르도 익스피리언스가 있다.

토마스 바통 리저브는 세계적인 와인 브랜드 바통 앤 게스띠에 (Barton & Guestier, B&G)의 제품으로 B&G의 설립자인 토마스 바통을 영원히 기리기 위해 만들어졌다.

 

*리저브 와인을 위한 적은 수확량, 정밀한 세분화 작업, *떼루아의 진정한 특성을 강조하기 위해 전통적인 방법으로 제조한 전형적인 클래식 보르도 와인으로, 힘차며 과일향이 우아하면서도 절제된 오크의 느낌과  모던함이 잘 어우러지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무거운 병과 짧고 색깔 있는 캡슐, 낮은 라벨의 위치 등 제품 디자인은 런던 박물관 등의 곳에서 자료수집을 통해 이루어낸 결과물로 설립자인 토마스 바통의 개성과 그가 살았던 시기인 18세기 보르도 스타일을 그대로 고수하고 있다. 라벨 또한 토마스 바통의 침착하고 신중한 특성과 18세기의 클래식 하면서도 우아한 느낌이 잘 간직되어 있으며 이 모든 디자인은 현재 토마스 바통 리저브만의 특허로 인정받고 있다.

 


토마스 바통 리저브 프리베 메독은 와인 메이커인 로랑 프라다와 와인 메이커 팀이 18명의 메독 지역의 포도 재배자들과 함께 오래된 포도나무에서 최소의 수확량으로 만들어낸 최상의 와인으로 전통적인 발효 방법을 사용하고 한번도 사용하지 않은 오크통에서 18개월 동안 프랑스 오크 통에서 숙성시켜 만들었다. 특히, 이 와인은 제한된 수량의 리저브 와인의 최상품으로 현재도 좋지만 10년 후가 더 기대되는 제품이며,  연간 단 12,000병만 생산되는 메독 최고의 클래식하고 엘레강스한 와인이다.

 

www.barton-guestier.com

 

 

자료출처 : http://dev.wine21.com/13_WineSearch/winesearch01_view.php?sh_searchtype=1&ViewTab=2&SelUno=7961&page=1&increment=0#TabPosition

 

 


디스텔, 오비콰 쇼비뇽 블랑, 2011

Distell, OBIKWA Sauvinon Blanc, 2011

 

 

생산국 : 남 아프리카(South Africa)
생산지역 : Cape Peninsula > Stellenbosch District 
생산자 : 디스텔(Distell)
종류 : White (VIN BLANC)
포도품종 : Sauvinon Blanc
알코올 : 12 %

 

Distell

 

이 와인의 이름인 ‘오비콰’는 남아프리카의 케이프 지역에 거주하였던 오래된 부족의 이름으로부터 따온 것으로, 이 와인은 그들의 인내와 창조정신을 찬미하는 것과 동시에 타조의 강인함을 상징하기도 합니다.


아프리카에서 타조의 알은 여러 세대에 걸쳐 물을 보관하는 용기로 사용되어 왔습니다.
와인의 레이블에 그려져 있는 타조의 이미지는 소중한 물을 저장해온 타조 알과 같이 포도나무에서 얻어낸 자연의 과즙인 와인을 병 안에 보관하는 것에 상징하고 있습니다.


이 와인은 케이프 지역에서도 가장 품질 좋은 포도재배지인 스텔렌보쉬(Stellenbosch) 지역에 위치한 아담 타스 셀라(Adam Tas cellar)에서 양조되고 있으며, 합리적인 가격에 편하게 마실 수 있는 와인으로 세계적으로 사랑 받고 있습니다.

 

 

- 와인생산량으로 전세계 9위에 위치 ,재배면적으로 전세계 15위에 위치

- 1656년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의 Jan Van Riebeek에 의해 케이프 지역을 중심으로 와인생산 시작, 2005년을 기준으로 약 4,500여개의 와인생산자 유지


- 18세기에 들어 동인도 회사를 통해 수출된 남아공 와인이 각광을 받기 시작하나, 남아공의 오랜 인종차별정책으로 인해 경제제재 및 국제적 고립으로 인하여 오랜 기간 국내 소비용 저급의 와인만을 생산

- 1994년 최초의 흑인대통령 넬슨 만델라와 함께 인종차별정책 폐지 → 대형 와이너리 들의 적극적인 투자와 현대적인 양조 방법으로 인하여 와인산업 활성화


- 남아공 와인 : 전통적이며 클래식환 구세계의 스타일 + 현대적인 양조기술을 바탕으로 한 신세계식 접근법


- 지중해성 기후 지역으로, 아프리카 남쪽에서 남서연안을 따라 북쪽으로 흐르는 한류인 벵겔라 해류(Benguela Current)의 영향으로 위도에 비해 서늘한 기후를 보임


- 2000년 SFW(Stellenbosck Farmer’s Winery)와 Distillers Corporation의 합병으로 설립


- SFW는 1900년에 미국의 의학박사였던 윌리엄 샤를 윈쇼(Willian Charles Winshaw)에 의해 설립된 남아공의 대표 와인회사로 와인을 넘어서 다양한 음료 및 주류 기업


- Distillers Corporation 또한 남아공을 대표하는 기업으로 1945년 안톤 루퍼트(Dr. Anton Rupert)에 의해 설립, 브랜디와 같은 하드리쿼 산업에서 대표주자로 발돋움


- 이 두 거인 회사의 합병을 통해 탄생된 디스텔은 남아공의 경제를 이끌어나가는 거대기업이자 와인산업 분야의 선두 주자.


- 약 4,200명의 직원과 함께, 연매출 79억 란드(한화로 약 1조 2천억원 규모) 달성

 

www.distell.co.za 

 

자료출처 : http://www.wine21.com/wine_detail/wine_detail.html?uid=46401

 

 

부켄하우츠크로프, 포큐파인 릿지 까베르네 소비뇽, 2010
Boekenhoutskloof, Porcupine Ridge Cabernet Sauvignon, 2010

 

 

 

종류 : 레드와인

당도분류 : Dry

용도 : 테이블와인
생산국 : 남아프리카공화국(South Africa)
생산지 : Cape Peninsula > Paarl District
제조사 : 부켄하우츠크로프(Boekenhoutskloof)
빈티지 : 2010
품종 : Cabernet Sauvignon 100%
용량 : 750ml
알코올도수 : 14.5%
음용온도 : 16~19C


어울리는 음식 : 육류, 안심, 등심, 치즈


맛과 향 : 나무

 

 

 어울리는 음식  

 

 
로스트 안심과 등심, 진한 소스의 육류, 오래된 숙성 치즈 등
 

 

 


 테이스팅 노트  

 

 
삼나무, 카시스 향이 은은하게 느껴지고, 중간 맛은 깊고 무게감이 있으며 피니시는 부드럽습니다.

 

5년까지 병숙성이 가능합니다.

 

버켄허스클루프의 대중적인 와인 라인으로 ‘고슴도치의 등’ 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고슴도치는 이 곳 포도밭 언덕에서 사람을 피해 숨어 사는 야행성 동물입니다.

 

소비뇽 블랑, 메를로, 까베르네 소비뇽, 시라 4 종류의 와인이 생산되고 있습니다.  

 


 

 

 

Boekenhoutskloof

 

 

1776년 시작된 버켄허스클루프 농장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수도인 케이프 타운에서 80 km 떨어진 프렌치호크(Franschhoek) 밸리에 위치합니다.

프렌치호크란 지명이 암시하듯 이 곳은 프랑스 이민자들이 최초로 정착하여 포도 재배에 이상적인 토양과 지중해성 기후를 활용하여 포도 재배를 시작한 장소입니다.

 


‘버켄허스클루프’란 이름은 ‘버켄헛 골짜기’란 뜻으로 프렌치호크 지역 토착 하드 우드 품종인 ‘케이프 비치’(Cape Beech)를 일컽는 남아공 토착어이기도 합니다.

케이프 비치는 한 때 남아공에서 가구를 만드는데 사용되었습니다.

와인의 탄생과 마찬가지로 자연의 산물인 나무에서 아름다운 가구를 창조해내던 장인들의 기술과 노력에 존경을 표시하는 의미로, 와이너리의 프리미엄 와인 버켄허스클루프 레이블은 의자 그림으로 디자인하였다고 합니다.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는 유일하게 존 플래터(John Platter) 가이드에서 3년 연속 5 Stars를 받은 와인입니다.

1993년 농장과 부속 가옥 전체의 보수를 마치고 현재 시라, 까베르네 소비뇽, 까베르네 프랑, 그르나쉬, 세미용, 비오니에를 재배하고 있습니다.

 

www.boekenhoutskloof.co.za

 

자료출처 : http://www.wine21.com/winesearcher/wine_detail/wine_detail.html?uid=46290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805921&mobile&categoryId=3311

 

 

투 오션스  소프트 프루티 레드, 2010

Two Oceans, Soft & Fruity Red, 2010 

 

 

 

 

종류 : 레드와인
당도 : 드라이와인
용도 : 테이블와인
생산국 : 남아프리카공화국(South Africa)
생산지 : Cape Peninsula > Paarl District
제조사 : 투 오션 (Two Oceans)
빈티지 : 2010
품종 : Cabernet Sauvignon 60%, Merlot, 40%
용량 : 750ml
알코올도수 : 13.5%
음용온도 : 15~17C

 

어울리는 음식 : 육류, 햄버거, 피자
맛과 향 : 과일, 딸기

 

어울리는 음식


각종 육류요리와 파스타, 베이컨, 햄버거, 피자등의 간편한 요리와도 잘 어울린다.

 


테이스팅 노트


진한 적색, 딸기와 잘 익은 과일향과 잘 익은 베리맛이 특징인 부드러운 탄닌이 느껴지는 미디엄 바디 와인이다.

 

Two Oceans

 

Two Oceans는 케이프 타운으로 모이는 두 대양 - 인도양과 대서양 – 에서 착안되어 붙여진 이름입니다. 

케이프 타운의 해안 지역은 온난한 기후를 형성하는데 낮에는 두 대양으로부터 불어오는 미풍, 그리고  밤의 기온 하강으로 인하여 포도가 천천히 익을 수 있는 조건이 형성됩니다.

또 적당한 습도로  습도가 높은 지역에 비해 병충해의 피해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Two Oceans는 세계 거대 주류 기업인 Distell 그룹에서 안정적이고 추진력 있는 브랜드로 자리잡았고 세계적인 프리미엄 와인으로 남아공 최고의 브랜드로 자리매김을 굳건히 하고 있는 와인입니다.

 

지역 : 남아공

해발 50~180 미터의 다양한 위치에 자리잡은 Stellenbosch, Paarl, Malmesbury, Worcester, Wellington의 포도원들에서 재배되었습니다.

 

www.twooceanswines.co.za

 

 

 

 

자료출처 : http://www.wine21.com/

 

바게또 뮈스카 까넬리, 2007

BARGETTO Muscat Canelli, 2007

 

 

와이너리 : BARGETTO

종류 : white

Appellation: Lodi
포도품종: 88% Muscat Canelli, 8% Pinot Grigio, 4% Gewurztraminer
산도 : 6.30 g/l
pH: 3.48 pH
알코올 : 12.6%
발효 후 잔류 당(Residual sugar) : 31.3 g/L
생산국 : 미국(U.S.A) 캘리포니아 (Santa Cruz Mountains)

참조 : www.bargetto.com

 

 

 


 

 

노블 메독 2009

Wine bar l 2012. 1. 14. 13:47
노블 메독 2009
NOBLE Médoc 2009



생산국 : 프랑스(France)
생산지 : Bordeaux > Médoc
제조사 : 노블 메독
빈티지 : 2009
품종 : Cabernet Sauvignon, Merlot, Petit Verdot
종류 : 레드와인
당도 : 드라이와인
용도 : 테이블와인
용량 : 750ml
알코올도수 : 13%
음용온도 : 14~16C
등급 : Medoc AOC
어울리는 음식 : 붉은 육류와 향료가 첨가된 요리와 잘 어울린다.

 
 테이스팅 노트  
 
깊은 붉은 색깔을 띠고 매우 향기롭고 기분 좋은 향을 풍기며 입안 가득히 부드럽고 풍부함을 제공하는 균형이 매우 잘 잡힌 와인이다.


 

Noble Médoc

보르도 지방은 프랑스 최초의 와인생산지역은 아니지만 프랑스 최고의 와인생산지역으로 인정 받고 있다.
메독(Médoc)지역은 이러한 보르도 지역에서도 가장 널리 알려진 와인생산지이다.

노블 메독은 프랑스 최고의 와인 산지인 보르도 메독지방에서 생산된 최고 품질의 포도를 사용하여 만들어진 와인이다.

네고시앙에서 10여 개 보르도 샤또와의 장기독점 계약을 통하여 포도재배에서부터 병입까지 전 공정을 철저히 관리하기 때문에, 최상의 품질을 자랑할 수 있는 와인이 노블 와인이다.

노블 와인을 만들기 위해서는 전통적인 양조방식이 바탕이 되었지만 전통성의 장점을 거스르지 않는 범위 내에서 현대적인 기술도 응용 되고 있다.
덕분에 가격대비 놀라울 정도의 복잡한 향을 뿜어내면서도 지나치게 떫지 않은 적절한 진함과 부드러움을 느끼도록 해준다. 

노블 와인 시리즈는 프랑스 최고의 와인산지이자 한국인에게 가장 사랑받고 있는 보르도의 메독, 생떼밀리옹 아뻴라시옹(Apellation) 와인을 비롯해 보르도 AOC의 화이트와 레드 등 제각기 개성이 전혀 다른 총 4제품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하나의 브랜드로 모든 맛과 음식을 아우를 수 있다는 장점마저 갖고 있다. 



자료출처 :
http://inhaengjung.blog.me/110128601002

http://www.wine21.com/winesearcher/wine_detail/wine_detail.html?uid=37317



'Wine bar' 카테고리의 다른 글

투 오션스 소프트 프루티 레드, 2010  (0) 2012.08.20
바게또 뮈스카 까넬리, 2007  (0) 2012.08.20
르 물랭 뒤 오 플앙띠에, 2009  (0) 2011.12.10
피아니시모 미니  (0) 2011.12.10
카프로스 스트로베리  (0) 2011.12.10
1 2 3 4 ··· 6 
BLOG main image
아사가오~ 해롱포터~ 합체☆!!!
2012년 생각없이 사는 것은 이제 그만~~
by 시이라

공지사항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553)
Animation (2)
Comics (4)
Movie (208)
Musical & Opera (10)
Concert (7)
J data (3)
Photo (159)
Gallery (8)
News (19)
Tea table (46)
Sundries (29)
Wine bar (57)

달력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

tistory!get rss Tistory Tistory 가입하기!